|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The Korean text of this paper can be translated into multiple languages on the website of http://jksee.or.kr through Google Translator.

J Korean Soc Environ Eng > Volume 44(11); 2022 > Article
SIFT-MS를 이용한 울산지역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농도분포 특성

Abstract

Objectives

Hazardous air pollutants emitted from industrial complexes also affect neighboring residential areas, so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emission facilities of the workplace.

Methods

Using SIFT-MS,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air was identified in urban areas, non-urban areas, and industrial complex areas.

Results and Discussion

The distribution of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major VOCs in Ulsan was highest in Yeocheon-dong, an industrial area, and in the case of urban areas, the industrial complex is highly influenced by the summer weather characteristics with south or southeast winds. And the Yeocheon-dong, which is an industrial area, showed a higher concentration at nighttime than daytime.

Conclusion

Management of emission facilities in industrial areas and long-term monitoring of VOCs are continuously needed.

요약

목적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유해대기오염물질은 인근 주거지역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사업장의 배출시설 관리가 필요하다.

방법

SIFT-MS를 이용하여 도심지역, 비도심지역, 공단지역을 대상으로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농도분포를 파악하였다.

결과 및 토의

울산 대기 중 주요 VOCs의 연평균농도 분포는 공업지역인 여천동 지점이 가장 높았고, 도심지역의 경우 남풍 또는 남동풍이 부는 하절기 기상 특성에 의해 공단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그리고 공업지역인 여천동 지점은 주간보다 야간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공업지역의 배출시설 관리 및 VOCs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1. 서 론

대규모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는 울산은 국내 대표적 산업도시로 발전하였고 동시에 공해도시라는 불명예스러운 오명도 지니게 되었으나, 사업장 배출시설 관리 및 환경오염방지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대기질이 크게 개선되어 생태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국민의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면서 오염물질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특히 암을 유발시키는 유해대기오염물질(Hazardous Air Pollutants)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
유해대기오염물질의 정의는 국가마다 조금씩 다르며 우리나라의 경우 유해성대기감시물질(대기환경보전법 제2조)이라 하여 사람의 건강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대기오염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미국 환경보호청(US EPA)은 유해대기오염물질을 생식작용이나 기형아 출산 또는 유해환경영향과 같은 암이나 기타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거나 의심되는 오염물질로 정의하고 있으며, 주정부 및 지방정부와 협력하여 환경에 유해한 대기오염물질 187종에 대해 대기 배출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하 VOCs)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유해대기오염물질은 미세먼지(PM2.5) 등 2차 생성유기입자를 생성시키는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독성, 발암성, 생체축적 등이 있어 장기간 노출시 감각기관의 자극이나 천식 같은 인체에 유해한 피해를 일으키고, 미량만 존재하여도 인간 및 동식물에 악영향을 주는 등 유해대기오염물질의 노출로 인한 환경보건 문제가 대두되기도 한다[2].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일반대기오염측정망과는 별개로 환경부는 대기환경관리를 위해 특수대기오염측정망을 운영하고 있는데, 광화학대기오염물질측정망에서 56종을 측정하고, 유해대기물질측정망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 16종과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이하 PAHs) 17종을 측정하고 있다. 하지만 VOCs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료채취, 운반, 보관 및 전처리과정과 열탈착 장비가 부착된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이하 GC/MS)가 필요하고, 긴 분석시간이 소요되어 실시간으로 자료를 생산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 대기 중 VOCs를 실시간으로 연속 측정할 수 있는 선택적다중이온질량분석기(Selected Ion Flow Tube-Mass Spectrometry, 이하 SIFT-MS)와 양성자전이질량분석기(Proton Transfer Reaction-Mass Spectrometry, 이하 PTR-MS) 등이 개발되었다[3-5]. SIFT-MS는 컬럼을 이용한 물리적 분리 대신 3가지 반응이온을 이용한 화학적 분리를 통해 대기 중에 있는 VOCs를 직접 주입하여 실시간으로 정량, 정성 분석할 수 있는 질량 분석기이다. 별도의 전처리 및 시료 농축없이 저농도(ppt) 수준까지 실시간 분석이 가능하여 의학, 식품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환경분야에서도 작업환경 유해물질, 공장 내 유해물질, 건축물 및 자동차 실내공기, 자동차 배기가스 분석에 활용되고 있다[6-9]. 그러나 아직까지 산업단지 및 주변지역의 대기 중 유해대기물질 비교측정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수준이다.
석유화학 등 대규모 산업단지가 입지하고 있는 울산지역의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등 유해대기오염물질의 농도 분포 조사는 사회적으로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사안이지만 울산지역은 공단지역과 주거지역이 인접해 있어 대기오염으로 인한 지역주민들의 건강 위해성에 나쁜 영향을 미칠 요인들이 잠재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도 하다. 지금까지 울산지역의 대기오염 관련 연구는 주로 환경기준성 대기오염물질에 관한 것이었으며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울산지역 유해대기오염물질(HAPs) 조사 연구를 2010년에 수행한 바 있고, 2014년에는 울산과학기술원에서 수동대기채취기(Radiello , Supelco)를 이용하여 VOCs 34종을 분석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FT-MS를 이용하여 도심지역, 비도심지역, 공단지역을 대상으로 울산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농도분포를 파악하여 향후 울산 대기질 개선 정책자료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2. 실험방법

2.1. 연구기간 및 조사지점

본 연구는 Fig. 1과 같이 공단지역, 도심지역, 대조지역 3지점을 선정하여 SIFT-MS를 탑재한 차량을 고정 정차하여 대기 중 유해대기오염물질을 측정하였고, 기간은 2019년 1월부터 12월까지 지점별로 매월 1회 진행하였다. 공단지역은 울산의 대표적 공업지역인 여천동에서, 도심지역은 울산 시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근 공단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대표적 주거지역인 야음동(울산세관)에서, 대조지역은 울산・온산국가산업단지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또한 인근에 오염 배출원이 없는 울주군 언양 삼남면(울주군보건소)에서 측정하였다.

2.2. 조사항목 및 분석

유해대기오염물질은 대기로 유출되는 화학물질 중 특히 유해성이 높은 물질로서, 주요 배출원으로는 화학공장, 발전소 등과 같은 고정오염원과 자동차 등의 이동오염원이 있으며, 이외에도 누출사고 및 산불 발생시에도 발생된다[10].
일반적으로 대기에 존재하는 VOCs는 종류가 다양하고 자연 및 인위적인 기원에서 배출되는 메탄 및 비메탄계탄화수소(NMHC, non methane hydrocarbon)로 구성된다[11]. 식생, 토양 등 자연적으로 생성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NVOCs(Natural VOCs)라 하고, 산업시설, 화석연료 연소, 자동차 배기가스 등 인간의 활동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생성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AVOCs(anthropogenic VOCs)라 한다. 그리고 산화된 VOCs(OVOCs, oxygenated VOCs)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생성되기도 하지만 대기 중에서 광화학산화 반응을 통해 배출되기도 한다[12].
실시간 동시분석 대상 VOCs는 EPA에서 지정하고 있는 유해대기오염물질과 환경부에서 고시하고 있는 지정악취물질 중에서 주요 유해대기물질 16종을 선정하여 SIFT-MS를 통해 분석하였다. Table 1에는 SIFT-MS에서 분석한 주요 VOCs 물질을 나타내었다. Table 1의 15번과 16번 물질은 SIFT-MS로 분석시 동일한 생성이온(Product ion)을 생성하여 질량 스펙트럼이 동일하게 나타나 분리되지 않는다.
SIFT-MS는 정교하게 조절된 화학적 이온화 반응을 통해 대기 중의 VOCs 농도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비이다. 또한 여러가지 물질을 신뢰성 있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3]. GC/MS에서 사용되는 상대정량법과 달리 표준물질 없이 절대정량법으로 측정이 가능하고, 분석대상화합물의 정량을 위해 특정 반응이온과 생성이온을 선택하고, 생성이온 양과 반응이온 양, 화합물의 고유 반응속도 상수를 통해 실시간으로 화합물의 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식 1).
(1)
A=γP+R+k
여기서 A: 농도( ppb)
γ: 기기보정계수(ICF)
P+: 생성이온
R+: 반응이온
k: 반응 속도 상수
대기 시료 측정과 동일한 분석조건에서 SIFT-MS에 대기 시료 대신 고순도 질소가스(99.9999%)를 시료 주입구에 직접 주입하여 바탕농도 변화를 조사하였고, 스캔하여 얻어진 5분 평균값을 총 7회 측정하였다. 고순도 질소가스를 사용하여 얻어진 측정값의 표준편차에 3배 곱한 값으로 SIFT-MS의 측정 농도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이하 LOD)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바탕농도를 측정한 후 대기중에서 측정한 실측농도에서 바탕농도를 뺀 후 최종농도를 산출하였다.
대기 중 VOCs 성분들의 정량분석을 위해 분석 전에 SIFT-MS 장비에 대한 validation을 실시하여 펌프의 온도 및 압력, carrier gas, 진공상태 등을 점검하였고, 그리고 7종의 VOCs(ethylene, isobutane, benzene, toluene, tetrafluorobenzene, hexafluorobenzene, octafluorotoluene)가 들어있는 Tuning standard를 이용하여 장비교정을 실시하고 장비 성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시료채취는 지상으로부터 약 3 m 높이에서 유리섬유(pore size 0.45 μm) 필터를 사용하여 공기 중 입자상 물질을 제거한 후 25 mL/min 유속으로 SIFT-MS 시료 주입구에 시료를 주입하였고, 5분 간격으로 24시간 연속 채취하여 측정하였다. 주요 VOCs 분석에 사용된 SIFT-MS의 운전조건은 Table 3과 같다. 기상정보(풍향, 풍속)는 도시대기측정망에 설치된 자동기상관측장비(AWS) 자료를 활용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연평균 농도 분포

울산 대기 중 주요 VOCs 연평균 농도분포는 Table 4Fig. 2와 같다. 지점별 농도분포를 살펴보면 공업지역인 여천동 지점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주거지역인 야음동 지점, 비도심 지역인 삼남면 지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공업지역인 여천동 지점은 울산석유화학단지와 울산용연공업단지가 인접해 있어 공단에 소재한 사업장 배출시설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이며, 이들 공업지역에는 주로 석유화학계열의 공장이 많고, 이곳에서 BTEX를 비롯한 유기용제의 다량 사용이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Formaldehyde의 경우 울산지역의 평균농도가 14 ppb로 이전 연구에서의 도시, 주거지역의 평균 농도(15~20 ppb)와 비슷한 수준이었다[14-19].
세계보건기구에서 1급 발암성 물질로 지정되어 있는 Benzene의 울산지역 평균농도는 1.2 ppb로 대기환경기준치(약 1.5 ppb) 이하였다. 하지만 공업지역인 여천동 지점의 Benzene 평균농도는 대기환경기준치에 근접한 1.5 ppb로 대규모 사업장뿐만 아니라 소규모 사업장의 VOCs 배출원에 대한 시설관리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주거지역인 야음동 지점과 비도심지역인 삼남면 지점의 Benzene 평균농도는 각각 1.2 ppb, 0.8 ppb이었다. 동일한 SIFT-MS 장비를 사용하여 온산국가산업단지 오염도를 측정한 연구에서도 주간과 야간 평균농도가 각각 1.4 ppb, 1.5 ppb로 측정되어 조사시점, 측정지점 및 측정방법 등이 상이한 것을 고려하더라도 산업단지내 Benzene 평균농도는 대체적으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20]. 과거 나광삼(1998) 등의 연구에서 울산산업단지의 Benzene 평균농도는 2.08 ppb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21]. 그리고 국립환경과학원이 2008년~2015년 기간 동안 국내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VOCs를 조사한 자료에서는 울산산업단지의 평균농도가 1.25 ppb 수준을 보였고, 여수산단의 경우 평균 1.8 ppb로 측정되었다[22].
1,3-Butadiene의 평균농도는 0.4 ppb이었고 Benzene과 마찬가지로 세계보건기구에서 지정한 1급 발암성 물질로 주로 차량 배기가스, 담배연기, 고무제품 제조과정 등에서 배출된다[23].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 빠르게 분해되어 도시 및 교외지역에서 낮은 농도 수준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1,3-Butadiene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나 영국 대기환경기준(1 ppb) 보다 낮은 농도를 보였다[25].
Trichloroethylene의 경우 울산지역의 평균농도가 0.69 ppb이었다. WHO에서는 Trichloroethylene을 발암성 물질로 관리하고 있고, 일본에서의 대기환경기준은 연평균 200 μg/m3 36.63 ppb)로 주거지역 및 공업지역 모두 일본의 대기환경기준에 훨씬 못 미치는 농도를 보였다. Tetrachloroethylene은 울산 지역에서의 연평균 농도가 1.43 ppb이었다. Trichloroethylene과 마찬가지로 WHO 권고기준(연평균 250 μg/m3)과 일본의 대기환경기준(연평균 200 μg/m3(28.99 ppb))에 훨씬 못 미치는 농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공업지역(2.79 ppb)이 주거지역(0.81 ppb)과 비도심지역(0.68 ppb)보다는 약 3배 정도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Toluene의 경우 울산지역의 연평균 농도가 2.31 ppb로 미국의 2.3 ppb와 비슷하였고, 국내에서는 안산 도심의 3.96 ppb보다는 낮은 농도 수준을 보였다[26]. Methanol과 Acetic acid의 평균농도는 공업지역이 주거지역과 비도심지역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Methanol은 석유화학, 금속공업, 폐수처리 등 사업장이 주 발생원으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isoprene과 같은 자연기원의 NVOCs 물질은 지점별 농도 분포가 비슷하였다.

3.2. 계절별 농도 분포

계절별 바람장미를 Fig. 3에 나타내었고, 울산 대기 중 주요 VOCs에 대한 계절별 농도특성은 Table 5Fig. 4와 같다. 월평균 기온이 15℃ 이상인 5월에서 10월까지를 Warm-Hot(W-H) 기간으로 정하고, 15℃ 이하인 11월에서 4월까지를 Cold 기간으로 정하여 조사하였다. 주거지역인 야음동 지점은 시료채취 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남풍 계열이었고, 공업지역인 여천동지점과 비도심지역인 삼남면지점은 북서풍 계열이 우세하였다.
전체적인 계절별 농도에서 Benzene의 경우 W-H 기간의 평균농도는 1.43 ppb로 대기환경기준치에 근접하는 수치를 보였고, Cold 기간의 평균농도는 이보다 낮은 1.13 ppb 수준이었다. 지점별로 살펴보면 주거지역인 야음동 지점도 W-H 기간의 평균농도가 1.41 ppb로 대기환경기준치에 근접하였다. Fig. 5와 같이 주거지역인 야음동은 남쪽으로 2.5 km 거리에 석유화학단지가 있고, 남동쪽으로는 1.5 km 거리에 울산미포산업단지, 그리고 남남동쪽 7 km 거리에 온산국가산업단지가 있다. W-H 기간에 농도가 높은 이유는 주로 남풍 또는 남동풍이 부는 하절기 기상 특성에 의해 공단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 Fig. 6에는 주요 VOCs에 대한 측정결과를 오염장미로 나타내었다. 오염물질별 농도가 기상조건(풍향, 풍속)에 따라 변하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오염장미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27-28]. 분석결과 Benzene 등 대부분의 VOCs는 측정 지점을 대상으로 남동풍이 불어올 때, 1,3-Butadiene의 경우는 남풍이 불어올 때 높은 농도를 보였다. 비도심지역인 삼남면 지점은 W-H 기간과 Cold 기간 모두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반면에 공업지역인 여천동 지점은 W-H 기간 Benzene의 평균 농도가 2.0 ppb로 대기환경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업지역인 여천동은 사방 5 km 내에 석유화학계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합성수지 및 플라스틱 제조업,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합성고무 제조업 등 다양한 업종의 사업장이 조성되어 있어 계절에 상관없이 상시 배출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3.3. 주․야간 농도 분포

울산 대기 중 주요 VOCs에 대한 시간(주간과 야간)별 농도 특성을 Table 6Fig. 7에 나타내었다. 오전 8시부터 오후 7시까지를 주간으로 정하고, 오후 8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 지를 야간으로 정하여 조사하였다. 지점별로 주간과 야간 농도특성을 살펴보면 주거지역인 야음동 지점과 비도심지역인 삼남면 지점은 주간의 평균농도가 야간의 평균농도보다 조금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공업지역인 여천동 지점에서는 야간의 평균농도가 주간의 평균농도보다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이를 시간대별로 분석한 결과 특히 Methanol과 Acetic acid 물질이 21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Fig. 8). 대구 및 경기도의 대기 중 VOCs 농도 조사에서도 공업지역의 야간 농도분포가 주간보다 높게 보고되어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29]. 2016년 울산보건환경연구원에서 수행한 울산석유화학공단 악취 물질 분포특성 연구에서도 VOCs 성분이 주간보다 야간에 높게 조사되었다. 이는 산업단지 내 배출사업장의 분포, 원료 취급물질과 조업현황 및 기상조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관리가 상대적으로 소홀할 것으로 보이는 야간에 사업장의 배출시설 관리는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ig. 9와 같이 Methanol과 Acetic acid 물질에 대한 오염장미 분석결과 주로 북서풍 계열이고 풍속이 3~5 m/s 구간에서 강하게 불어올 때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는 측정지점을 중심으로 북서쪽에 위치한 배출시설 사업장에서 기인된 오염물질이 측정지점에 도달하여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제 해당지역 주변에는 Methanol과 Acetic acid 물질 및 다량의 VOCs를 사용하는 화학제품 제조업, 원유정제업,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등이 조업하고 있다.
Benzene의 경우 주간과 야간의 전체 평균농도는 각각 1.29 ppb와 1.13 ppb로 대기환경기준치 이하였다. 지점별로 살펴보면 주거지역인 야음동 지점과 비도심지역인 삼남면 지점은 대기환경기준치 이하였지만, 공업지역인 여천동 지점은 주간과 야간의 평균농도가 각각 1.60 ppb와 1.51 ppb로 대기환경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3.4. 상관성 분석

상관분석은 두 변수간에 어떤 선형적 관계인지 분석하는 방법이다. 상관계수는 일반적으로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를 이용하며 상관계수 r은 –1 ~ +1의 범위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였고 주요 VOCs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대체적으로 물질간의 상관성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Acetonitrile 과 Acetaldehyde(r=0.753), Formaldehyde와 Acetaldehyde(r=0.664), Formaldehyde와 Acetonitrile(r=0.732), Methanol과 Acetic acid(r=0.883), Propylbenzene과 Acetic acid(r=0.670), Propylbenzene과 Methanol(r=0.623), Trichloroethylene과 Acetaldehyde(r=0.682), Xylenes+Ethylbenzene과 Toluene(r=0.729) 등이 유의수준 5%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상관성이 높은 VOCs의 경우 동일한 배출원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일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결과는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연구한 이전 연구결과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30,31]. 대규모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는 울산은 정제 및 석유화학,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합성고무 및 합성수지 제조업 등 다양한 사업장이 있으며, BTEX 등 VOCs가 용매나 원재료 가공시 배출되는 특성이 있다는 것과 관련지을 수 있다[32]. Fig. 10은 각 물질들간의 상관성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Methanol과 Acetic acid의 결정계수(R2=0.78)가 가장 크고 나머지는 0.53~0.57 범위를 보였다.

4. 결 론

울산 대기 중 주요 VOCs의 농도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1월부터 12월까지 지점별, 계절별, 시간별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울산 대기 중 주요 VOCs의 연평균농도 분포는 공업지역인 여천동 지점이 가장 높았고, 도심지역의 경우 남풍 또는 남동풍이 부는 하절기 기상 특성에 의해 공단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므로 VOCs 배출원에 대한 시설관리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공업지역인 여천동 지점은 주간보다 야간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 관리가 상대적으로 소홀할 것으로 보이는 야간에 사업장의 배출시설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기 중 VOCs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시스템을 이용해 산업단지와 산업단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지역의 대기 중 농도분포를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고정 및 이동 연속 측정을 통해 발생원의 추적 활용에도 기대된다. 이동측정은 오염원 및 주변지역을 주행하면서 측정할 수 있어 오염물질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는 데 효과적이고 오염지도 작성을 통해 고농도 오염 현상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생태환경도시를 표방하는 산업도시 울산은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을 위해 향후에도 산업단지 배출시설 관리 및 VOCs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분야시험검사의 국제적 적합성기반구축사업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Notes

Declaration of Competing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known competing financial interests or personal relationships that could have appeared to influence the work reported in this paper.

Fig. 1.
Stationary monitoring sites by using real-time atmospheric measurement system.
KSEE-2022-44-11-406f1.jpg
Fig. 2.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nual average characteristics by region.
KSEE-2022-44-11-406f2.jpg
Fig. 3.
Windrose by site during the sampling period.
KSEE-2022-44-11-406f3.jpg
Fig. 4.
Volatile organic compounds seasonal concentrations characteristics by region.
KSEE-2022-44-11-406f4.jpg
Fig. 5.
Major residential areas and industrial areas of Ulsan.
KSEE-2022-44-11-406f5.jpg
Fig. 6.
Polar plot of the major compounds in Yaeum during warm-hot.(unit: ppb)
KSEE-2022-44-11-406f6.jpg
Fig. 7.
Day and night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Ulsan.
KSEE-2022-44-11-406f7.jpg
Fig. 8.
Diurnal variation of individual VOCs based on hourly measurement.
KSEE-2022-44-11-406f8.jpg
Fig. 9.
Polar plot of the major compounds in Yeocheon.
KSEE-2022-44-11-406f9.jpg
Fig. 10.
Correlation for each component
KSEE-2022-44-11-406f10.jpg
Table 1.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alyzed using SIFT-MS.
No. Compounds CAS Number Chemical formula Molecular mass
1 OVOCs Acetaldehyde 75-07-0 C2H4O 44.05
2 Acetone 67-64-1 C3H6O 58.08
3 Butanone 78-93-9 C4H8O 72.10
4 Methanol 67-56-1 CH3OH 32.04
5 1,3-Butadiene 106-99-0 C4H6 54.09
6 Trichloroethylene 79-01-6 C2HCl3 131.38
7 Tetrachloroethylene 127-18-4 C2Cl4 165.82
8 NVOCs Isoprene 78-79-5 C5H8 68.12
9 AVOCs Formaldehyde 50-00-0 CH2O 30.02
10 Acetic acid 64-19-7 CH3COOH 60.05
11 Acetonitrile 75-05-8 C2H3N 41.05
12 Benzene 71-43-2 C6H6 78.11
13 Propylbenzene 103-65-1 C9H12 120.19
14 Toluene 108-88-3 C7H8 92.14
15 Xylenes - C8H10 106.17
16 Ethylbenzene 100-41-4 C8H10 106.16
Table 2.
Summary of blank concentration test and LOD with SIFT-MS.
No. Compounds Measured blank concentrations (ppb)
Avg. S.D LOD RSD (%)
1st 2nd 3rd 4th 5th 6th 7th
1 Acetaldehyde 2.78 2.53 3.75 1.56 3.49 1.35 2.74 2.60 0.90 2.69 34.46
2 Acetone 1.48 1.91 2.08 1.19 1.40 1.36 1.98 1.63 0.35 1.06 21.64
3 Butanone 0.24 0.33 0.35 0.32 0.24 0.19 0.22 0.27 0.06 0.19 23.03
4 Methanol 3.90 4.55 4.24 4.46 4.95 4.77 5.84 4.67 0.62 1.85 13.23
5 1,3-butadiene 0.06 0.19 0.19 0.03 0.12 0.06 0.04 0.10 0.07 0.21 69.66
6 Trichloroethylene 0.04 0.12 0.15 0.15 0.20 0.12 0.12 0.13 0.05 0.15 37.69
7 Tetrachloroethylene 0.14 0.34 0.21 0.21 0.05 0.13 0.07 0.16 0.10 0.30 60.24
8 Isoprene 0.11 0.13 0.09 0.04 0.08 0.07 0.05 0.08 0.03 0.10 39.11
9 Formaldehyde 3.21 3.00 2.43 2.85 3.00 3.03 3.12 2.95 0.25 0.76 8.63
10 Acetic acid 0.91 0.94 0.96 0.46 0.55 0.86 0.92 0.80 0.21 0.62 25.69
11 Acrylonitrile 0.31 0.18 0.31 0.31 0.26 0.30 0.25 0.27 0.05 0.15 17.72
12 Benzene 0.52 0.56 0.50 0.55 0.66 0.35 0.40 0.51 0.10 0.31 20.48
13 Propylbenzene 0.26 0.39 0.32 0.21 0.51 0.49 0.19 0.34 0.13 0.39 38.15
14 Toluene 1.03 0.69 0.50 0.79 0.78 0.45 0.53 0.68 0.21 0.62 30.10
15 Xylenes+Ethylbenzene 0.46 0.40 0.52 0.36 0.62 0.52 0.44 0.47 0.09 0.26 18.33
Table 3.
Operating conditions of SIFT-M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alysis.
Parameter Value
Sample plate temperature 120 ℃
Inlet pipe temperature 120 ℃
Upstream pressure 6.00E-05 Torr
Flow tube pressure 140 mTorr
Flow tube temperature 120 ℃
Downstream pressure 1.40E-06 Torr
Source pressure 373 mTorr
Table 4.
Summar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nual concentrations in Ulsan.(unit : ppb)
Group Compounds All
Yaeum
Yeocheon
Samnam
Avg. Avg.±S.D Avg.±S.D Avg.±S.D
OVOCs acetaldehyde 11.81 12.24±3.84 12.36±5.19 10.84±4.46
acetone 5.99 7.43±5.39 6.01±3.20 4.52±1.50
butanone 2.41 2.54±2.56 3.30±5.19 1.38±0.59
methanol 37.70 18.11±17.66 83.70±119.59 11.28±4.41
1,3-butadiene 0.43 0.52±1.09 0.51±1.21 0.26±0.21
trichloroethylene 0.69 0.66±0.41 0.72±0.48 0.68±0.61
tetrachloroethylene 1.43 0.81±1.18 2.79±7.50 0.68±0.68
NVOCs isoprene 0.36 0.39±0.23 0.35±0.19 0.34±0.21
AVOCs formaldehyde 13.53 12.69±5.30 13.19±7.09 14.71±8.64
acetic acid 7.83 5.30±2.57 14.20±21.69 3.99±1.98
acetonitrile 1.59 1.68±0.68 1.53±0.70 1.56±0.88
benzene 1.22 1.26±0.87 1.58±1.92 0.81±0.67
propylbenzene 2.02 1.07±0.84 4.29±6.75 0.70±0.41
toluene 2.31 2.96±2.66 2.52±2.25 1.44±0.80
xylenes+ethylbenzene 2.71 3.29±3.03 3.34±3.37 1.51±0.81
Table 5.
Summar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seasonal concentrations in Ulsan.(unit : ppb)
Group Compounds All
Yaeum
Yeocheon
Samnam
W-H
Cold
W-H
Cold
W-H
Cold
W-H
Cold
Avg. Avg. Avg.±S.D Avg.±S.D Avg.±S.D Avg.±S.D Avg.±S.D Avg.±S.D
OVOCs acetaldehyde 12.30 11.33 13.28±4.85 11.53±2.74 10.96±4.08 12.83±5.43 12.66±5.55 9.62±2.99
acetone 7.52 5.07 9.71±6.28 5.85±3.97 7.15±3.05 5.63±3.15 5.69±1.31 3.73±1.03
butanone 2.36 2.31 3.41±3.64 1.95±1.04 2.18±4.99 3.67±5.2 1.48±0.6 1.32±0.57
methanol 32.59 38.57 23.17±25.19 14.64±7.8 61.22±106.41 91.22±122.81 13.4±4.48 9.86±3.75
1,3-butadiene 0.37 0.45 0.52±0.90 0.52±1.20 0.29±0.49 0.58±1.36 0.30±0.26 0.24±0.17
trichloroethylene 0.95 0.54 0.79±0.49 0.57±0.32 1.04±0.55 0.61±0.40 1.02±0.76 0.45±0.32
tetrachloroethylene 2.23 1.10 1.04±1.37 0.65±1.00 4.71±9.78 2.14±6.43 0.94±0.77 0.51±0.54
NVOCs isoprene 0.44 0.31 0.46±0.28 0.34±0.16 0.42±0.24 0.32±0.16 0.44±0.25 0.27±0.15
AVOCs formaldehyde 12.53 13.71 12.15±4.17 13.06±5.92 8.80±4.13 14.66±7.27 16.64±12.42 13.42±4.16
acetic acid 8.32 7.32 7.02±2.99 4.11±1.23 12.69±17.72 14.70±22.85 5.24±2.26 3.16±1.19
acetonitrile 1.65 1.53 1.63±0.57 1.71±0.74 1.45±0.5 1.55±0.75 1.89±1.04 1.34±0.67
benzene 1.43 1.13 1.41±0.95 1.16±0.8 2.05±1.72 1.43±1.96 0.85±0.7 0.79±0.65
propylbenzene 2.00 1.96 1.47±1.13 0.80±0.36 3.70±4.48 4.48±7.34 0.84±0.38 0.61±0.39
toluene 2.23 2.31 3.09±2.34 2.86±2.85 2.05±1.25 2.68±2.47 1.54±0.83 1.38±0.77
xylenes+ethylbenzene 3.18 2.40 4.52±4.06 2.45±1.55 3.42±2.44 3.31±3.63 1.61±0.76 1.44±0.83
Table 6.
Summar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day and night distribution in Ulsan.(unit : ppb)
Group Compounds All
Yaeum
Yeocheon
Samnam
day
night
day
night
day
night
day
night
Avg. Avg. Avg.±S.D Avg.±S.D Avg.±S.D Avg.±sd Avg.±S.D Avg.±S.D
OVOCs acetaldehyde 12.50 11.26 12.93±4.09 11.59±3.07 13.50±5.75 11.57±3.81 11.06±4.05 10.61±4.74
acetone 6.23 5.77 7.92±6.25 6.87±3.41 6.06±2.34 6.11±2.61 4.70±1.51 4.33±1.14
butanone 2.93 1.83 2.91±2.94 2.18±0.98 4.44±4.66 1.99±1.24 1.44±0.59 1.33±0.40
methanol 23.84 50.96 17.71±12.43 18.43±19.70 42.25±45.39 123.46±101.49 11.57±4.23 11.00±4.20
1,3-butadiene 0.50 0.36 0.72±1.34 0.32±0.22 0.51±1.01 0.49±0.77 0.27±0.15 0.25±0.14
trichloroethylene 0.75 0.65 0.67±0.32 0.64±0.23 0.84±0.52 0.67±0.29 0.72±0.56 0.64±0.50
tetrachloroethylene 1.17 1.71 0.82±0.73 0.80±1.08 1.89±2.38 3.73±7.15 0.79±0.64 0.58±0.48
NVOCs isoprene 0.41 0.32 0.43±0.22 0.34±0.08 0.41±0.20 0.31±0.10 0.38±0.20 0.29±0.11
AVOCs formaldehyde 13.87 13.06 13.43±5.33 12.09±5.03 12.56±5.70 13.28±5.46 15.63±8.30 13.81±8.71
acetic acid 6.37 9.44 5.59±2.76 4.95±2.01 9.30±7.04 19.61±19.97 4.22±2.01 3.74±1.53
acetonitrile 1.65 1.53 1.77±0.70 1.61±0.53 1.57±0.66 1.47±0.58 1.60±0.86 1.51±0.86
benzene 1.29 1.13 1.40±0.85 1.13±0.54 1.60±1.39 1.51±1.53 0.88±0.61 0.75±0.47
propylbenzene 1.52 2.47 1.12±0.97 1.01±0.57 2.66±2.88 5.77±6.70 0.78±0.43 0.62±0.27
toluene 2.25 2.34 2.83±2.13 3.05±2.77 2.44±1.40 2.57±2.24 1.48±0.79 1.40±0.62
xylenes+ethylbenzene 2.74 2.68 3.30±3.24 3.25±2.42 3.34±2.00 3.35±3.38 1.58±0.79 1.43±0.57
Table 7.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 1
2 0.191** 1
3 0.035 0.121** 1
4 0.366** 0.453** 0.159** 1
5 0.198** 0.753** -0.003 0.290** 1
6 0.123** 0.489** 0.075 0.398** 0.322** 1
7 0.042 0.452** 0.095* 0.337** 0.193** 0.385** 1
8 -0.006 0.664** 0.093* 0.035 0.732** 0.206** 0.121** 1
9 0.170** 0.606** 0.058 0.432** 0.451** 0.381** 0.256** 0.341** 1
10 0.038 0.072 0.883** 0.108** 0.017 0.118** 0.090* 0.126** -0.027 1
11 -0.024 -0.002 0.670** 0.084* -0.092* 0.088* 0.130** 0.032 -0.028 0.623** 1
12 0.214** 0.133* 0.002 0.090* 0.119** 0.145** 0.048 -0.012 0.045 0.041 0.039 1
13 0.117** 0.229** 0.139** 0.466** 0.001 0.188** 0.415** -0.079* 0.220** 0.164** 0.123** 0.115** 1
14 0.083* 0.682** 0.162** 0.380** 0.553** 0.309** 0.204** 0.498** 0.607** 0.004 0.008 0.183** 0.101** 1
15 0.163** 0.384** 0.213** 0.577** 0.137** 0.476** 0.467** 0.008 0.307** 0.209** 0.166** 0.259** 0.729** 0.246** 1

1: 1,3-Butadiene, 2: Acetaldehyde, 3: Acetic acid, 4: Acetone, 5: Acetonitrile, 6: Benzene, 7: Butanone, 8: Formaldehyde, 9: Isoprene, 10: Methanol, 11: Propylbenzene, 12: Tetrachloroethylene, 13: Toluene, 14: Trichloroethylene, 15: Xylenes+Ethylbenzene

* significant at a level of 0.1,

** significant at a level of 0.05

References

1. S. O. Baek, C. G. Jeon,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managemen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in Korea - focusing on ambient air monitoring issu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9(5), 513-527(2013).
crossref
2.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US EPA), Category for persistent, bioaccumulative and toxic new chemical substances, Federal Register., 64, 60194-60204(1999a).

3. S. Krol, B. Zabiegala, J. Namiesnik, Monitoring VOCs in atmospheric air II. Sample collection and preparation,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29(9), 1101-1112(2010).
crossref
4. B. Moser, F. Bodrogi, G. Eibl, M. Lechner, J. Rieder, P. Lirk, Mass spectrometric profile of exhaled breath field study by PTR-MS, Respiratory Physiology and Neurobiology., 145(2-3), 295-300(2005).
crossref
5. D. Smith, P. Spanel, Selected ion flow tube mass spectrometry(SIFT-MS) for on-line trace gas analysis, Mass Spectrometry Reviews., 24(5), 661-700(2005).
crossref
6. N. K. Sharma, M. Choct, S. Wu, R. A. Swick, Nutritional effects on odour emissions in broiler production, World’s Poultry Science Journal., 73(2), 257-280(2017).
crossref
7. P. Pakanat, S. Barringer, The effect of food additives in fruit drinks on the nosespace using selected ion flow tube mass spectrometry(SIFT-MS), Journal of Food and Agriculture., 1(1), 1-10(2016).

8. J. Dummer, M. Storer, M. Swanney, M. McEwan, A. S. Thomas, S. Bhandari, S. Chambers, R. Dweik, M. Epton, Analysis of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30(7), 960-967(2011).
crossref
9. P. Spanel, D. Smith, Progress in SIFT-MS: breath analysis and other applications, Mass Spectrometry Reviews., 30(2), 236-267(2011).
crossref pdf
10. K. Ok,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Hazardous Air Pollutant Inventory Construction Project 3 National Institue of Environmental Research Publishing, Incheon, Korea(2009).

11. A. H. Goldstein, I. E. Galbally, Known and unexplored organic constituents in the Earth’s atmosphere,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1, 1514-1521(2007).
crossref
12. G. Legreid, D. Folini, J. Staehelin, J. BalzaniLööv, M. Steinbacher, S. Reimann, Measurements of organic trace gases including oxygenat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t the high alpine site Jungfraujoch(Switzerland): Seasonal variation and source alloca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3(D5), 0148-0227(2008).
crossref
13. J. U. Yu, S. M. Ryu, J. H. Kim, J. M. Park, B. J. Gong, Characteristics of emissions for air pollutants and odorous substances in a domestic dying industrial complex by using a real-time mobile monitoring system, Korean Journal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18(4), 362-370(2019).
crossref
14. T. Salthammer, Formaldehyde in the ambient atmosphere: from an indoor pollutant to an outdoor pollutant?, Angewandte chemie., 52(12), 3320-3327(2013).
crossref
15. J. Duan, S. Guo, J. Tan, S. Wang, F. Chai,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carbonyls during haze days in Beijing, China, Atmospheric Research., 114-115, 17-27(2012).
crossref
16. J. Duan, J. Tan, L. Yang, S. Wu, J. Hao, Concentration, sources and ozone formation potenti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during ozone episode in Beijing, Atmospheric Research., 88(1), 25-35(2008).
crossref
17. H. K. Wang, C. H. Huang, K. S. Chen, Y. P. Peng, C. H. Lai, Measurement and source characteristics of carbonyl compounds in the atmosphere in Kaohsiung city,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79(1-3), 1115-1121(2010).
crossref
18. R. Pal, K. H. Kim, Y. J. Hong, E. C. Jeon, The pollution status of atmospheric carbonyls in a highly industrialized area,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53(3), 1122-1135(2008).
crossref
19. E. B. Bakeas, D. I. Argyris, P. A. Siskos, Carbonyl compounds in the urban environment of Athens, Chemosphere., 52(5), 805-813(2003).
crossref
20. S. J. Youn, K. H. Jo, H. S. Kim, G. B. Song, S. B. Lee, J. Y. Jeong, Measuremen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in industrial complex using mobile measurement system with SIFT-M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6(4), 507-521(2020).
crossref
21. K. S. Na, Y. P. Kim, H. C. Jin, K. C. Moon, Concentrations of Water-soluble Particulate, J. of Korea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14(4), 281-292(1998).

22. S. H. Lee, B. M. Lee, B. W. Kang, J. M. Jeon, Characteristics of VOCs and PAHs distribution in the ambient air in the area near the shipbulilding, J.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18(6), 501-516(2017).

23. D. T. Silverman, C. M. Samanic, J. H. Lubin, A. E. Blair, P. A. Stewart, R. Vermeulen, J. B. Coble, N. Rothman, P. L. Schleiff, W. D. Travis, R. G. Ziegler, S. Wacholder, M. D. Attfield, The diesel exhaust in miners study: a nested case-control study of lung cancer and diesel exhaust,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104(11), 855-868(2012).
crossref
24.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ATSDR) Home Page, Disposition of peer review comments for toxicological profile for 1,3-butadiene, https://www.atsdr.cdc.gov/sites/peer_review/, (2012)

25. S. O. Baek, K. H. Kim, Recent trends of air quality management in the United Kingdom, Journal of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14(3), 251-260(1998).

26. J. G. Kim, B. J. Song, J. S. Ko, J. S. Kim, Distribution of VOCs in urban and industrial ambient, J.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5(4), 217-224(2002).

27. M. K. Shin, C. D. Lee, H. S. Ha, C. S. Choi, Y. H. Kim,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PM10 concentration in Inche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3(3), 322-331(2007).
crossref
28. B. H. Kim, D. S. Kim,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behaviors of ambient PM2.5 and PM10 in Suwo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6(2), 89-101(2000).

29. D. G. Kim, I. S. Song, J. S. Woo, Y. S. Bae, Y. K. Lee, I. B. Park, H. S. Han, Y. J. Kim, J. S. Kim,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toxic volatile organic hydrocarbons in Gyeonggi-do’s Atmosphere, J.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21(1), 11-23(2018).

30. J. H. Kim, Y. S. Ghim, J. S. Han, S. M. Park, H. J. Shin, S. B. Lee, J. S. Kim, G. W. Lee, Long-term trend analysis of korean air quality and its implication to current air quality policy on ozone and PM10, J. of Korean Soc. for Atmos. Environ., 34(1), 1-15(2018).
crossref
31. E. K. Kim, H. B. Song, M. S. Park, J. K. Lim, J. D. Kwon, S. J. Choi, S. K. Park, G. H. Han, The Concentrations of ambient VOCs at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J. of Korean Soc. of Environ. Eng., 36(7), 498-505(2014).
crossref
32. S. H. Byeon, J. G. Lee, J. K. Kim, Patterns of the main VOCs concentration in ambient air around Shiwha Area, J. Kor. Soc. Environ. Eng., 32(1), 1229-1236(2010).

Editorial Office
464 Cheongpa-ro, #726, Jung-gu, Seoul 04510, Republic of Korea
TEL : +82-2-383-9653   FAX : +82-2-383-9654   E-mail : ksee@kosenv.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Developed in M2PI